본문 바로가기

OS

(33)
[OS] macriumReflect_WIN11_백업복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[OS] VirtualBox_마우스 잠겼을 때 방법과 Alt + Ctrl 빠져나오기 설정 #####.virtualBOx VM 나가기 방법 2가지 #. ctrl + alt + del 키로 나가기 #. win + L 로 다시 로그인하기 두가지 방법이 있다. #####.Alt + Ctrl 설정하기 #. 우리는 비슷한 VM의 Alt + Ctrl에 익숙해져 있을지도 모른다. #. 그래서 설정을 해보도록 하자 #.환경설정에 들어가서 입력탭을 누르고 #. 가상머신 탭에 가서 #. 호스트키 조합의 단축키를 클릭하고 #. Alt 와 Ctrl키를 동시에 누르면 된다. #. VM에서도 잘 빠져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[OS]CentOS7 System Statistics사용량 확인 명령어 (iostat편) ##########.sysstat #####.iostat #.iostat사용법 ㅁ.disk divice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. ㅁ.iostat는 시스템에 마운트 된 여러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. #.usage ㅁ.iostat [option] [interval] [] ㅁ.iostat -d 3 3 ㅁ.위 명령어는 -d 디스크의 정보를 3초간 3번만 출력하라는 의미이다. #.출력정보 %user CPU가 User 모드에서 사용된 시간의 비율 %nice 작업 우선 순위 정책에 의해 우선순위가 바뀐 프로세서가 사용한 시간의 비율 %system CPU가 시스템 모드에서 사용된 시간의 비율 %iowait 디스크 입출력을 기다리는데 사용된 시간의 비율 %steal steal CPU의 작동시간 %idle ..
[OS] CentOS7 System Statistics사용량 확인 명령어 (vmstat편) ##########.sysstat packge #####.vmstat ㅁ.vmstat -tw 1 -아래 지표들을 t 시간을 출력하면서 w 정렬을 맞춰서 1초마다 출력해라 ㅁ.성능의 지표들 Procs r : 디스패치 큐에서 대기하고 있는 요구 수 b : 리소스와 IO, 페이지 등을 대기하고 있는 미처리 항목의 수 Memory swpd : 사용된 가상 메모리 free : 여유 메모리 buff : 버퍼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 cache : 캐쉬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 Swap si : 디스크로부터 Swap In 되는 메모리 so : 디스크로 Swap Out 되는 메모리 io bi : 블록 디바이스에서 읽은 블록 수 bo : 블록 디바이스에 전송한 블록 수 system in : 초당 인터럽트 수 cs : 초당 ..
[OS] CentOS7 System Statistics사용량 확인 명령어 (mpstat편) ##########.sysstat packge #####.mpstat ㅁ.yum install -y sysstat ㅁ.mpstat ㅁ.위 지들을 차근차근 살펴보자 - %user : 사용자 수준에서 실행하는 동안 발생 (Application) - %nice : 사용자 수준에서 실행하는 동안 발생 (우선 순위) - %sys : 시스템 수준에서 실행하는 동안 발생 (핵심), 여기에는 시간이 포함되지 않고,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서비스에 소요 - %iowait : CPU 또는 CPU가 작동하는 시간의 백분율을 표시. 시스템이 유효 상태 였던 동안 미결 디스크 I/O요청 - %irq : CPU가 소비한 시가느이 백분율 표시 또는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서비스하기 위한 CPU - %soft : CPU가 소비..
[OS] centOS7_war 배포 배포할 프로젝트를 war 압축 시킨다. https://mgjin.tistory.com/32 위 경로를 보고 secure copy로 VM -> VM으로 옮긴다.
[OS] centOS7_WAS설치_alias설정 https://tomcat.apache.org/download-90.cgi https://dlcdn.apache.org/tomcat/tomcat-9/v9.0.73/bin/apache-tomcat-9.0.73.tar.gz 톰캣 디폴트 포트인 8080 접속 ip:8080/ 접속 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온다 톰캣 종료 후 재시작 다시 톰캣 다운 해당 경로 복사 후 notepad에 복붙 alias tomcat_boot="cd /root/tomcat9/bin; ./startup.sh" alias tomcat_down="cd /root/tomcat9/bin; ./shutdown.sh" alias tomcat_log="tail -f /root/tomcat9/logs/catalina.out"
[OS] centOS7_jdk설정_.bash_profile_PATH ==================== jdk PATH 설정 /home/opt에 접근한다 ===================== jdk 디렉토리 생성 ===================== 해당 경로에 jdk 리눅스 버전을 SCP한다. tar xfz jdk-11[이하 탭]을 눌러 압축 해제 해주고 ln -s jdk-11.0.17 jdk11로 소프트 링크를 걸어준다. chown 명령어로 root:root로 권한을 바꿔준다. cd~ /vi .bash_profile을 열고 아래와 같이 PATH를 수정한후 source .bash_profile로 재시작하면 자바 PATH설정 완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