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OS

(33)
[OS] 리눅스 1급_프로세스 #####. 프로세스 ###. 프로세스의 개요 #. 프로세스의 개념 +. 프로세스의 정의 - 프로세스는 디스크의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한 상태 - 하나의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프로세스로 중복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라 정의 할 수 있음. +. 프로세스의 특징 - 프로세스는 생성, 실행, 대기, 중지, 좀비, 종료 등의 라이프 사이클을 갖음 - 프로세스는 고유의 아이디 (PID)를 갖고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의 관계를 맺으며 실행 우선순위와 프로세스의 상태를 갖음 - 프로세스는 생성 시간, 시스템 실행 시간, 사용자 실행 시간 등의 시간 정보와 주기적인 이벤트 발생을 위한 타이머를 가질 수 있음 - 프로세스는 사용 가상 메모리, 프로세스 컨텍스트, 파일 핸들 ..
[OS] 리눅스 1급_Shell 셸 #####. 셸 ###. 셸의 이해 #. 셸의 개념 +. 일반적인 셸의 정의 - 셸은 사용자가 커널의 서비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- 셸은 명령줄 인터페이스 방식 CLI (Command Line Interface)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방식으로 구분 +. 리눅스 셸의 역사 - 71년 최초 버전의 유닉스에 도입된 셸은 켄 톰프슨이 작성한 톰프슨 셸 - 77년 유닉스 버전 7에 포함된 기본 유닉스 셸은 본셸이며, AT&T 벨 연구소의 스티븐 본이 개발 - 70년 후반 버클리 대학 빌 조이가 C 언어를 기반으로 강력한 셸 프로그래밍 기능을 가진 C셸을 개발 - 83년 벨 연구소의 데이비드 콘이 본셸과 하위 호환하면서 벨 연구소의 사용자들이 요청하던 C셸의 ..
[OS] 리눅스 1급 X 윈도우 #####. X윈도우 ###. X윈도우의 개념 #. X윈도우의 정의 - X 윈도우란 플랫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GUI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를 기반으로 X 프로토콜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윈도우를 그려주고 마우스 및 키보드 등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 유닉스 및 리눅스의 윈도우 시스템 #. X윈도우의 역사 - 84년 IBM, MIT, DEC 공동의 아데나 프로젝트를 통하여 밥 쉐이플러, 짐 게티스가 처음 개발함 - 86년 밥 쉐이플러가 누구나 자유롭게 X를 사용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화 하기 위해 디자인을 수행 - 87년 오픈소스 프토젝트 하에 X11발표 - 96년 수많은 컴 제조업체로 이루어진 X 컨소시엄이 조직되어 X11R2가 릴리즈 ..
[OS] 리눅스 1급_리눅스의 구조 2 #####. 리눅스의 구조 ###. 파일 시스템의 이해 #. 파일 시스템의 개요 - 파일 시스템이란 디스크에 사용자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파일과 디렉토리를 조직화한 체계 - 디스크에 포맷 작업을 한다는 의미는 A4종이에 글씨를 쓰기 좋도록 미리 줄을 긋는 것과 비슷. 포맷은 디스크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고 주소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자료를 조직적으로 보관 가능하게 함 - 사용자의 데이터는 파일 단위로 관리가 되며 디스크에 저장할 쌔에는 레코드 단위 혹은 블록 단위로 저장. 각 파일은 디렉토리에 속하여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 가능케함 - 파일 시스템은 파일 입출력 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하여 복구할 수 있는 기능 제공 - 디스크 입출력은 메모리에 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..
[OS] 리눅스1급_리눅스의 구조1 #####. 리눅스의 구조 ###. 부트매니저 #. 부트매니저의 개요 - 부트매니저의 정의 : 부트 매니저(Boot Manager)는 보조기억장치에 위치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부트로더(Boot Loader)라고 부른다. #. 부트 매니저의 동작 원리 - 시스템이 켜지면서 BIOS는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(0번 섹터)인 부트 섹터에서 512바이트의 MBR(Master Boot Record)를 읽음 - MBR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IPL(Initial Program Loader)라고 불리는 부트로더의 일부가 먼저 실행 - IPL은 파티션 테이블을 검사하여 부트로더의 나머지 코드를 알아내 실행 - 리눅스의 대표적인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은 LILO(Linux LOader)와 G..
[OS] 리눅스1급_리눅스와 하드웨어 #####. 리눅스와 하드웨어 ###. 하드웨어의 이해 #. 컴퓨터 구성 요소 #. 중앙처리장치 (CPU : Central Processing Unit) -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 받아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석하여 연산하고 결과를 반환함 -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, 제어 - Register : 연산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 역할, 작은 데이터만을 저장, 엑세스 빠름 - ALU (Arithmetic Logic Unit) : 데이터들 간의 비교, 판단, 연산 수행 - Control Unit : 입력명령어 해석, 해석한 명령을 연산 장치 등으로 보내주고 주소를 디코드하여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 #. Main memory - CPU가 처리할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- 휘발성 R..
[OS] 리눅스1급_리눅스 개요 ######. 리눅스 개요 ###. 리눅스 정의 및 의미 #. 리녹스의 정의 - 1991 년 라누스 토발즈 에 의해 오픈소스로 개발되었고 개인용 컴퓨터,서버, 메인 프레임,모바일 기기,임베디드 기기를 위한 유닉스 호환 운영체제 #. 리눅스의 의미 - 개발된 당시에는 다양한 패키지률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형태는 아니었고, 단지 리녹스 커널만을 의미 - FSF(Free Software Foundation)가 GNU 프로젝트를 통해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리눅스 배포판을 제공, 이를 강조하고자 GNU/Linux라고 부른다. ###. 리눅스의 일반적인 특징 #. 이식성 (portabillity) - 대부분 C언어 ==> 하드웨어 이식 용이 - 처음은 인텔 x86 CPU가 기..
[OS] 리눅스1급_OS_운영체제 종류 #####. 운영체제 종류 ###. 데스크탑, 운영 #. 윈도우 - 빌 게이츠, 폴 앨런 마이크로소프트 설립 - 직관적 19H1 같은 업데이트명 표기 - 기존의 PC용 OS에도 NT 커널을 탑재하여 Windows XP가 출시 #. macOS - 스티브 잡스, 스티브 워즈니악 애플 설립 -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직관적 사용법, 안정성, 무료 업그레이드 등이 장점 #. 리눅스 - 리누스 토발즈, 유닉스에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개발 - 뉴스그룹에 발표되면서 리눅스의 역사 시작 - 전세계의 수많은 개발자들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공개 프로젝트 형식 - 리차드 스툴만 GNU 프로젝트는 리눅스 커널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, 제공 #. 유닉스 - AT&T 사의 벨 연구소 켄 톰슨, 데니스 리치..